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케팅 으랏차챠

<외국계 기업 브랜드 마케팅> 전략수립 – 로컬 마켓 이해하기 시장, 경쟁사, 소비 성장중인 브랜드 마케터의 브랜드 마케팅 이야기 시장 브랜드의 전략이 다른 경쟁사가 무엇을 하는지에 따라서 휘청거려서는 안되지만, 글로벌 브랜드가 하나의 로컬 마켓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마켓과 해당 마켓의 소비자 특성을 잘 파악해야 합니다. 수많은 전략 중 제품을 판매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바로, 채널 전략입니다. “그래서 어떤 제품을 어디서, 얼마나 팔건데?”에 대한 계획이죠. 내 브랜드가 속해 있는 전체 카테고리의 채널별 비중을 기반으로 채널 전략을 검토해 볼 수도 있고, 브랜드에서 가지고 있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도 검토해 볼 수 있겠습니다. 시장에 따라 다르지만 중요한 요소는 시즌 전략도 중요합니다. “한 철 장사”라는 말이 있듯이, 특정 카테고리가 많이 팔리는 시즌이 있다면.. 더보기
<외국계 기업 브랜드 마케팅> 전략수립 - 브랜드 이해하기3 브랜드 이미지 (Brand Imagery) 성장중인 브래드 마케터의 브랜드 마케팅 이야기 브랜드를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계속해서 브랜드의 Nurture 부분 중 브랜드 이미지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Nature의 브랜드 비전과 포지셔닝, Nurture의 Brand Funnel에 대한 이야기는 이전 게시물에서 하였으니 못 보신 분들은 이전 게시물 참고하셔요😊 2023.10.17 - [마케팅 으랏차챠] - 전략수립 - 브랜드 이해하기1 브랜드 비전과 포지셔닝 2023.10.18 - [마케팅 으랏차챠] - 전략수립 - 브랜드 이해하기2 브랜드 퍼널 (Brand Funnel) 브랜드 이미지 (Brand Imagery) 브랜드 이미지 또한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기 때문에 Brand Funnel과 마찬가지로.. 더보기
<외국계 기업 브랜드 마케팅> 전략수립 - 브랜드 이해하기2 브랜드 퍼널 (Brand Funnel) 성장중인 브랜드 마케터의 브랜드 마케팅에 대한 이야기 브랜드를 이해한다는 것은, 브랜드의 내재된 부분(Nature)과 브랜드가 시장에서 도달한 위치(Nurture)를 모두 이해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Nurture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Nature에 대한 이야기는 이전 게시물에서 하였으니 못 보신 분들은 아래 게시물 참고하셔요😊 2023.10.17 - [마케팅 으랏차챠] - 전략수립 - 브랜드 이해하기1 브랜드 비전과 포지셔닝 Nurture는 브랜드의 내부적인 요소가 아니라, 소비자들이 우리를 어떻게 받아드리고 있는지 확인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유명한 리서치 회사들을 통해 (혹은 내부 소비자 조사팀을 통해) 소비자 조사를 진행하여 알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Brand Funnel Analys.. 더보기
<외국계 기업 브랜드 마케팅> 전략수립 - 브랜드 이해하기1 브랜드 비전과 포지셔닝 아직 성장중인 브랜드 마케터가 남겨보는 브랜드 마케팅 이야기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려면 당연히 브랜드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겠지요. 브랜드를 이해한다는 것은, 브랜드의 내재된 부분(Nature)과 브랜드가 시장에서 도달한 위치(Nurture)를 모두 이해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 두가지를 모두 이해하고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때 비로소 브랜드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우선 Nature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브랜드 비전과 포지셔닝 포지셔닝이나 타게팅과 같은 단어는 모두 한번쯤 들어 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정말 포지셔닝과 타게팅은 어떤 기준으로 하는지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글로벌 브랜드의 경우, 보통 브랜드의 기저가 되는 브랜드 비전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브랜드 비전이란, .. 더보기
<외국계 기업 브랜드 마케팅> 브랜드 마케터의 중요한 역량과 기술 (간접 직업 체험) 6년차 외국계 기업 FMCG 산업의 브랜드 마케터가 느낀 내용을 적어봅니다. 제 기록이기도 하면서, 누군가가 '아, 외국계 마케팅하면 이런거도 하겠구나~' 정도 알게 되는것도 좋지 않을까 싶어요. 오늘은 브랜드 마케터를 직업으로 삼기에 어떤 역량과 기술이 필요한지 이 뭔지 적어보았습니다. 이 부분은 특히나 “개인적인” 의견으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마케터 역량 (근데 그냥 직장인에게도 다 해당되는..) 일단 “역량”이라고 표현한 부분은 쉽게 기르려고 인터넷 좀 찾아본다고 길러지지 않는 부분인 입니다. (제기준) 저도 많이 부족하지만 회사에서 일하면서 부딪히고, 뒤통수도 맞아보면서 현타 및 성찰과 함께 길러지는 것 같아요..! COMMUNICATION SKILL 사실 모든 직장인에게 필요한 스킬이라고 생각.. 더보기
<외국계 기업 브랜드 마케팅> 브랜드 마케팅의 정의와 역할 (콘텐츠 마케팅, 퍼포먼스 마케팅) 6년차 외국계 기업 FMCG 산업의 브랜드 마케터가 느낀 내용을 적어봅니다. 제 기록이기도 하면서, 누군가가 '아, 외국계 마케팅하면 이런거도 하겠구나~' 정도 알게 되는것도 좋지 않을까 싶어요. 오늘은 브랜드 마케팅이 뭔지, 뭘하는건지 정리해 봤습니다. 브랜드 마케팅 정의 대학교를 다닐 때 까지만 해도 마케팅이라는 직무가 정확히 뭘 하는 직무인지 몰랐던 것 같아요. 그냥 판매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있어보이게 만들어주는 것? 정도라고 생각했으려나요? 그래서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진행하는 브랜드 캠페인을 주도하는 사람 정도라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물론 브랜드 캠페인을 주도하는 사람도 맞지만, 브랜드 마케터란 좀더 큰 그림을 그리는 사람인 것 같습니다. 회사가 세워 놓은 브랜드 가치를 소비자들에게 잘 .. 더보기
<외국계 기업 브랜드 마케팅> 해외 브랜드의 특징 6년차 외국계 기업 FMCG 산업의 브랜드 마케터가 느낀 내용을 적어봅니다. 제 기록이기도 하면서, 누군가가 '아, 외국계 마케팅하면 이런거도 하겠구나~' 정도 알게 되는것도 좋지 않을까 싶어요. 일단은 제가 몸담고 있는 산업과 외국계 회사가 갖는 특징을 먼저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 외국계 기업 외국계 기업의 소비재 산업 진출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죠. 여전히 해외 직구를 해야하는 브랜드도 있지만, 우리 주변에 흔히 보는 많은 브랜드가 해외 브랜드입니다. 이러한 해외 브랜드들은 대부분 해외에서 어느정도 규모를 갖춘 회사인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그 강점이 있지만, 그 몸집이 또 단점이 되기도 합니다. 외국계 회사의 해외 브랜드를 담당하면서 우쭐하게 되는 모먼트와 답답해지는 모먼트를 적어 .. 더보기
<외국계 기업 브랜드 마케팅> 소비재 산업의 특징과 동향 저는 외국계 기업의 한국사람 대부분이 들으면 알만한 초콜릿 브랜드의 브랜드 마케터 입니다. 마케팅이라는 직무가 산업, 회사의 비전 등 너무 많은 것에 정말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게 되는 것 같아서, 제가 경험한 것은 빙산의 일각일거라 생각해요. 그럼에도 제가 회사를 다니면서 드는 생각, 고민들도 나누고, 마케터라는 직무의 매력도 적어보려 해요. 제 기록이기도 하면서, 누군가가 '아, 외국계 마케팅하면 이런거도 하겠구나~' 정도 알게 되는것도 좋지 않을까 싶어요. 일단은 제가 몸담고 있는 산업과 외국계 회사가 갖는 특징을 먼저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 소비재 산업의 특징과 동향 다양한 산업군에서 일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으나, 소비재 산업밖에 접해 보지 않았다. 하지만 소비재 산업이야 말로 마케팅이 정말 중.. 더보기

반응형